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2-10-20 08:29:19
  • 수정 2022-10-20 08:39:07
기사수정

▲ 안영미 시인

[안영미의 봉당에 앉아서] 논에 벼가 노랗다. 어제 벼보다 오늘의 벼가 더 노랗다. 간간이 빈 논이 보이는구나, 했는데 어제보다 오늘 빈 논이 더 많다.


가을이다.


오늘 새벽에는 서리가 내렸다. 그래도 대낮에는 볕이 따갑다. 다행이다. 아직 덜 자란 배추는 나날이 잎을 오므리고 노랗게 고갱이를 앉히느라 바쁘다.


가을이다.


대문 들어가는 입구에 난 채송화를 그냥 두었다. 여름의 일이다. 핑크색 꽃을 흐드러지게 피워내고 있다. 이 가을에 어찌하자는 말이냐.


가을이다.


앞마당으로 진선네 마당으로 뒤꼍으로 감나무잎이 난분분하다. 봉당에까지 날아와 앉아 부엌에 있는 나에게 말을 건다. 좀 수선스럽다.


가을이다.


감잎의 색깔은 노랑이거나 주황이거나 주홍이거나 갈색이거나. 빨강이 섞이고 초록이 점을 찍기도 했다. 저 감잎의 색깔만으로도 나는 가슴 한쪽에 가을을 걸어놓고 논다.


가을이다.


내 손등의 주름은 여름보다 더 선명하다. 주름 사이사이에 감잎 같은 색을 견주며 웃다가 하늘을 본다. 하늘을 무심히 볼 수 있는 나이다.


가을이다.


나고 자란 울빅이라는 마을에서 자신의 의자 위에 앉아 생을 마감했다는 노르웨이 시인 하우게가 생각나는 가을이다. 그의 시는 가벼운 듯 깊고 추운 듯 따듯하다. 고향처럼.


가을이다.


꽃분홍 맨드라미가 징글맞게 송아리를 부풀린 가을이다. 모가지를 꺾는 것은 내가 아닌 바람이어야 한다. 바람의 메신저는 때로는 아주 잔인하고 단호하다.


지금 그 가을 안에 내가 있다. 이제는 너 말고 내가 있다.


[덧붙이는 글]
작가 안영미 시인은 안성에서 나고 자랐다. 고향을 떠났다가 중년이 되어 돌아왔다. 세 아이를 키웠고 지금은 자유기고가로 활동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rtimes.co.kr/news/view.php?idx=2248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신세계관광
'아이들이 행복한 맞춤도시 안성'
안정열의장
안성마춤한우갤러리
보광전기
안성시장애인체육회
안성문협 25회 안성예술제
k1(주)
기아비룡대리점
김영기대표
김학용 국회의원 창간 8주년 축하
한경국립대학교
안성시 어르신 무상교통 지원사업안…
안성시의회 홍보
기부하고 혜택 받는 고향사랑 기부제
안성시민장학회 후원
또 하나의 자연, 안성마춤'
만복식당
설경철 주산 암산
넥스트팬지아
산책길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