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4-05-27 14:33:57
기사수정

지역현안 해결 의지담아 험지의원실 배정 자청한 당선인 화제

 

▲ 윤종군 국회의원 당선자

[우리타임즈 = 김영식 기자] 530, 22대 국회 등원일을 앞두고 국회에서는 의원실 배정이 한창이다. 의원실은 국회의원 당선자들에겐 4년 동안 살아갈 보금자리. 그만큼 좋은 을 배정받기 위한 물밑 경쟁이 뜨겁다.

 

물밑 경쟁이 뜨거운 만큼 선수가 높은 의원부터 좋은 방을 배정해 주는 것이 관행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그래서 선수라는 이 없는 초선 의원들은 이른바 험지(?)’로 내몰리기 일쑤다.

 

대표적인 험지10. 이른바 본청이라 불리는 국회의사당에서도 멀고, 엘리베이터 사용 등 많은 불편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나마 한강이나 여의도가 훤히 내다보이는 바깥쪽 방은 사정이 좀 낫다. 그래서 10층 안쪽에 자리 잡은 방은 의원실 가운데 험지 중에서도 험지로 꼽힌다.

 

그런데, 최악의 험지10층 안쪽 의원실을 일부러 자청해 배정받은 당선자가 있어 화제. 경기도 안성의 윤종군 당선자가 바로 그 주인공.

 

 

우리 집에 한 번 놀러 와! 어디 사는데? 안성! 그럼 어느 전철역에서 내리면 돼? 전철역??

 

 

안성에 몇 년 이상 거주한 시민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나눴을 법한 이런 대화는 안성시민의 간절한 염원이 무엇일지를 어렵지 않게 짐작케 해 주는 현재진행형 대화다. 안성은 경기도 31개 시·군 중 유일하게 전철역과 기차역이 없다.

 

윤 당선자는 전철역과 기차역을 유치해 달라는 안성시민의 염원을 반드시 임기 내에 실현하기 위한 의지를 드러내기 위해 안락한 보금자리를 위한 로비대신 일부터 의원회관 10층 안쪽 방인 1011호를 자청했다. 원래 1101호를 원했으나 11층이 없어 1101을 거꾸로 한 1011을 의원실 호수로 배정해 달라고 요청한 것.

 

사연인 즉 이렇다. 1925111일은 일제강점기에 안성역이 개통한 날이다. 그런데 안성을 통과하던 기차는 폐선된 지 오래고, 안성역도 1989년에 문을 닫았다.

 

수도권 접근성이 최악일 것은 불문가지. 안성 시민들이 다시 안성에 전철역과 기차역을 끌어와 명실상부한 수도권 안성시대를 개막해 줄 것을 기대하고 윤 당선인을 선출한 핵심 배경이다. 윤 당선인이 편리함쾌적함대신 지역 현안 해결 의지를 의원실 호수에 담고 최악의 험지를 보금자리로 택한 이유도 이런 맥락이다.

 

이쯤 되면 윤 당선인의 의원실 배정에 얽힌 사연은 사모곡(思母曲)’에 비견될 만하다. ‘사모곡이 아닌 사향곡(思鄕曲)’ 쯤은 되는 것이다. 4년 동안 있을 여러 가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일부러 최악의 험지자청한 윤 당선인의 결연한 의지가 어떤 결실을 맺을지 자못 흥미롭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rtimes.co.kr/news/view.php?idx=2922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안성맞춤여성합창단 제 10회 정기연주…
문화로 살기좋은 문화도시 안성
제224회 안성시의회 제1차 정례회
한경국립대학교
김영기 대표
저소득층 무상교통시행
산책길
공도독서실
임웅재 한영
설경철 주산 암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